• 2023. 1. 22.

    by. 프리치동

    스턴버그의 삼원지능이론

    스턴버그는 강점과 약점의 조화를 통하여 환경에 잘 적응함으로써 자신의 인생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능력으로 성공지능을 제안하였습니다.

    분석적, 창의적, 상황적 지능으로 구성되어 삼원지능이론이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분석적 지능 - 분석, 판단, 평가, 비교, 대비하는 능력, 메타, 수행, 지식획득 등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창의적 지능 - 새로운 문제에 대해 관련되지 않은 사실을 연결할 수 있는 창의능력을 의미합니다. 선택적 부조화, 선택적 결함, 자동화 등이 작용하게됩니다.

    상황적 지능 - 일상생활에 자신을 맞출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환경적응이 환경변화를 이루고 그 다음 환경선택 등의 능력이 있습니다.

     

    모든 것에 공통되는 '좋은 능력'이란 없으며, 주어진 여건 속에서 최고의 결과를 만들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이 개념은 기존의 지능검사(언어, 수리, 도형인식)보다 훨씬 넓은 범위를 포함합니다(분석, 통합, 창의, 실제능력 등). 

    모르는 단어의 의미를 맥락에 비추어 파악하는 능력도 포함됩니다.

     

    인지적 특성 2 - 창의성

     

    창의성의 개념

    창의성(creativity)은 고대 그리스어인 creare(만든다, 창조한다)에서 왔으나 그 정의는 시대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매우 주관적인 개념입니다.

    문제해결능력의 한 형태(Newell et al, 1962)

    확산적 사고력을 포함하는 지적 능력(Guilford, 1967)

    어려운 문제를 이해하고 이의 해결을 위하여 아이디어를 내고 가설을 세워 검증하며 그 결과를 전달하는 과정(Torrance, 1976)

    현존하는 사물을 변형시켜 보다 독창적인 산출물을 만들어 내는 과정이며, 지식과 상상력, 평가의 함수(Treffinger et al, 1994)

    연관성 있고 효과적인 새로운 사고나 산출물을 생산하는 능력(Cropley, 1999)

    - 일반ㄴ적으로 '새롭고 적절하며 유용한 것을 생각하고 만들어 내는 능력' 등으로 정리되고 있으나 학자들의 의견은 다양합니다.

     

    <창의성의 체제 모형(Systems Model of Creativity)>

    체제 모형에는 독창성, 가치, 실현성이 있습니다.

     

    근래 들어 창의성은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변을, 과정뿐만 아니라 결과까지도 포함하는 경향으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Csikszentmihalyi와 Wolfe(2000)는 창의성을 '주어진 체제(systems) 내에서 독창적(original)이고 가치(valuable)가 있으며 실천할 수 있는(implemented) 사고 또는 산물'로 정의합니다.

     

    결국 창의적인 사람은

    - 어떤 산물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 그 산물은 기존 체제 내에 변화를 가져와야 합니다.

    - 그 변화는 그 분야에서 가치로워야 합니다.

     

    따라서 창의성은 기존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만들어진 기준으로 평가되는 맥락 지향적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구성요소

     

    이에 대한 설명으로는 어번(Urban, 1995)의 모형이 가장 대표적입니다.

    이 모형에는 3개의 인지적, 3개의 정의적 요소가 포함됩니다.

     

     

    발달

    창의성의 발달에는 결정적 시기가 있을 수 있으나 발달단계 전반에 걸친 자기 노력과 환경 조성이 필요합니다.(Gowan, 1980)

    본 장에서는 하주현(2006)이 제시한 창의성 발달단계를 인용하겠습니다.

     

    1) 유아기 (0~6세) - '놀이로서의 창의력'

    아동의 창의력은 능력이라기보다 태도나 인성특성으로, 성장하면서 질적으로 변화합니다.

    창의적 사고는 전조작기에 시작하며 이 시기 상상적 놀이는 이후 창의적 사고의 바탕이 됩니다.

     

    2) 아동기 (7~12세) - '창의력의 잠재기'

    초등학교는 창의력 발달의 결정적 시기로, 초등학교 입학 시 상승하여 4학년에 낙하('4학년 슬럼프')한다는 주장이 있습니다.(Torrance, 1962)

    하지만, 이는 성장과 성숙의 과정에서 겪는 질적 변화의 일면일 뿐입니다.(Dudek, 1974)

     

    3) 청소년기 (13~20세) - '창의력의 질적 변화시기'

    새로운 인지, 정서, 사회적 능력의 변화, 전문적 기술의 습득은 창의적 산물 형성에 기여합니다.

    창의적 산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개념적, 추상적 사고가 필요하므로 형식적 조작기 이후가 성숙한 창의력이라는 질적 변화를 만들어 내는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4) 성인기 (20대 후반~50대 후반) - '창의적 산물의 생산기'

    자신의 분야에서 가장 왕성한 창의적 활동을 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높은 수준의 인지능력과 충분한 정서가 지원될 경우 성인기의 창의력은 보다 왕성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5) 노년기 (60대 이후) - '창의력의 유지기'

    높은 수준의 인지적 기술과 정서적 상태를 유지한다면 연령으로 인한 창의력 감소는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제안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