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2. 15.

    by. 프리치동

    원인과 반응

     

    외적 원인 - 환경

    ■ 스트레스는 원칙적으로 외부에서만 오지만 이를 해석하는 것은 각 개인이므로 스트레스의 원인은 '외부 - 내부'의 관계에서 찾는 것이 보다 정확합니다.

    ■ 외적 원인인 환경에 관련된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큰 환경

    - 물리적 : 생존에 필수적인 물리적 환경 - 기후, 물, 공기, 음식, 안전 등

    - 사회적 : 사회구조, 사회적 편견, 차별, 경제적 빈곤, 범죄 등

     

    작은 환경

    - 물리적 : 소음, 공해, 과밀 등

    - 사회적 : 가족문제, 직장문제, 학교문제, 고립 등

     

    환경의 변화

    - 외상적 사건 : 심리적 충격이 큰 외적 사건에 따른 고통, 무력감 등

    - 생활의 변화 : 생활의 변화에 따른 지속적 재적응 요구

    - 골칫거리 : 일상 속에서 부딪히는 골치 아픈 일들, 가사, 건강, 시간 압박, 내적 삶의 문제, 환경, 경제, 업무, 미래 등

     

     

    내적 원인 - 개인

    ■ 동일한 외적 원인이 제공되더라도 이를 어떻게 받아들일지에 따라 발생 여부는 달라집니다.

    ■ '내적 조건'은 외적 조건을 스트레스 반응으로 만드는 개인의 조건을 의미하며 동기체계, 인지체계, 성격요인 등으로 나누어집니다.

     

    1) 동기체계

    ▶ 개인의 성격적 특성 중 '동기'는 스트레스 발생의 주된 원인 중 하나입니다.

    ■ 비현실적 동기 : 동기는 긍정적 역할을 하지만, 그것이 비현실적일 경우에는 동기좌절로 인한 스트레스 발생의 원인이 됩니다. '착한 딸 환상, 유능한 직장인 환상' 등

    ■ 동기간 부조화 : 동기간  부조화 및 갈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특정 동기가 강조됨으로써 다른 동기가 위축되어 스트레스가 발생. '사랑과 야망'

     

    2) 인지체계

    ▶ 상황에 대한 인지적 판단을 의미하며 비현실적 동기의 원인, 결파가 되기도 합니다.

    ■ 비합리적 믿음(원인) : '1등은 사회적 평가의 척도이다' ⇒ 비현실적 동기의 원인

    ■ 비합리적 믿음(결과) : 동기의 좌절로 인한 무능력의 고착화 ⇒ '나는 무능하다...'

     

    3) 성격요인

    ▶ 'A'형이 스트레스에 취약한 것으로 보고됨(Friendman & Rosenman, 1974).

    1) A형 성격

    ■ 성취에 대한 욕구가 높음. 시간에 대한 참을성이 부족하며, 경쟁적 성향이 있습니다.(완벽주의)

     

    2) B형 성격

    ■ 여유롭고 참을성이 많은 'easy - going' 성격. 상대에 대하여 사려가 깊습니다.

    ▶ 추후 'C'형 제안되었으며 이 역시 스트레스에 취약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Eysenck, 1994)

     

    3) C형 성격

    ■ 과도한 인내, 지나친 유화와 협력, 억압에 의한 극복 등이 특징. 타인의 기대 충족을 위하여 노력합니다.

    ■ '발암인자적 성격'이라고도 명명되었습니다.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 신체적 반응과 심리적 반응을 알아보겠습니다.

     

    1) 신체적 반응

    ▶ 스트레스가 인지되면 두뇌의 '시상하부'가 자율신경계를 통제하여 신체를 경계상태에 들어가게 합니다.

    ■ 외적 변화 : 빠른 호흡, 심장 박동 증가, 혈관 수축(혈압이 증가합니다.), 기도를 넓혀 폐에 더 많은 공기 유입,

    소화작용 같은 불필요한 신체 기능을 중지합니다, 동공확장, '닭살'(체온유지)

     

    ■ 내적 변화 : 노르아드레날린 가동, 적혈구 생성 증가(지혈 도움), 간을 자극하여 당을 생성함으로써 체내 에너지 축적,

    골수 자극하여 백혈구 증가

     

     

    심리적 반응

    ■ 자신의 삶에 관련된 변화를 심리적으로 어떻게 받아들일 지에 따라 스트레스의 정도는 달라집니다.

    ■ 부정적인 사건뿐 아니라 긍정적 사건도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홉슨(Hobson, 1998)은 다양한 개인사적 스트레스의 원인에 점수를 부여하여 스트레스 양을 산출하였습니다.

    ■ 총 51개의 항목 각각에 서로 다른 점수를 부여한 후 과거 1년 동안 각각에 대한 점수의 합이 145가 넘으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 미국의 경우 25%가 0점, 5%가 1,000점을 초과. 평균은 278점이었습니다.

     

     

    대처방안

     

    인지적 스트레스 평가

    ■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적 평가에 따라 스트레스는 쉽게 지나갈 수도 있고 큰 부담으로 남을 수도 있습니다.

    ■ 라자러스(Lazarus, 1994)는 이를 두 단계의 평가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대처 반응

    ■ 스트레스를 주는 상황을 어떻게 대처할 지에 따라 스트레스의 정도가 달라집니다.

    ■ 1) 문제지향적 대처와 2) 정서중심적 대처로 나뉘어집니다.(Billings & Moos, 1982)

     

    1) 문제지향적 대처

    ■ 직접적으로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하여 고안된 행동이나 실제 문제 해결활동.

    ■ 투쟁(위협 파괴, 제거) 도피(위협으로부터 멀어짐), 기타(타협, 협상 등), 장래 스트레스 예방(자기 저항력 강화)

     

    2) 정서중심적 대처

    ■ 스트레스의 원인은 변화시키지 않고 자신의 느낌을 좋게 하는 활동을 통해 자신을 변화시킵니다.

    통제 불가능한 원인을 관리하는데 유용합니다.

    ■ 신체중심활동(항불안약물 복용, 이완), 인지중심활동(자신의 생각 교정/논박, 환상), 추가 불안으로 이어지는

    의식적, 무의식적 과정을 조절하기 위한 치료

    ⇒ 대처전략이 많을수록 대처가 용이하고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자신의 자원이 맞아떨어져야 하며 자신이 이러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 경우(자기 효능감 상승), 스트레스의 영향이 줄어들게 됩니다.

     

     

    인지적 전략 수정

    ■ 스트레스는 결국 자신이 그 원인을 어떻게 받아들일 지에 따라 다르게 작용합니다.

    ■ Meichenbaum(1993)은 스트레스의 본질을 재평가하고 받아들이는 자신의 인지전략을 재구성함으로써(인지행동수정)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1단계

    ■ 자신의 행동을 일으킨 원인 및 결과를 재정리하여 상황에 대한 통제감을 높임

    ■ 글로 직접 작성하는 것이 효과적

     

    2단계

    ■ 적절치 못한 자기 파괴적 행동을 중지시킬 수 있는 대안의 모색

     

    3단계

    ■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긍정적이고 현실적으로 평가

    ■ '난 언제나 이 모양이야' ⇒ '조금 더 노력을 하니 성과가 있구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자기 진술 사례

     

    준비 : 할 수 있는 일을 생각해 보자. 걱정만 하고 있는 것보다 나을 거야.

    직면 : 하나씩 처리하자. 나는 극복할 수 있어. 긴장을 풀자.

    대처 : 두려움을 완전히 제거하려 하지 말자. 내가 감당할 수 있을 정도면 돼

               이보다 더 험한 일도 일어날 수 있어. 다른 일을 생각해 보자.

    자기 강화 : 성공했어! 생각보다 별 거 아니군. 내가 정말 잘하고 있어 다행이다.